Linux

리눅스(Rocky Linux)로 DHCP서버 운영 및 만들기

kkuniyo 2025. 2. 19. 17:41
반응형

오늘 공부할 리눅스로 DHCP서버 운영 및 만들기 목표

  • Network: 192.168.0.0/24
    • 192.168.0.0 255.255.255.0
  • 서버는 30대 운영 중이며, 모두 고정 IP 설정됨.
    • 네트워크의 앞쪽부터 순차적으로 사용 중 (192.168.0.1 ~ 192.168.0.30)
  • Gateway 주소:
    • 네트워크 마지막 IP 사용 (192.168.0.254)
  • DHCP Server:
    • 11번째 서버에서 운영 중 (192.168.0.11)
  • DNS 주소:
    • 1차: Kornet DNS
    • 2차: Google Public DNS (168.126.63.1, 8.8.8.8)
  • 서비스할 도메인 이름:
    • kkun.local
  • 임대시간 설정:
    • 기본 임대시간: 3600초 (1시간)
    • 최대 임대시간: 7200초 (2시간)
  • 특정 장비의 IP 고정 할당
    • w10-1 → 항상 192.168.0.101
    • MAC 주소:
      • 00:00:00:00:00:01 → 192.168.0.101

처음 세팅은 vmware workstation에서 윈도우설치 후 ip를 다 동적으로 할당받게 설정한다

네트워크 연결 들어가는 명령어

 

 

우클릭-속성

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(TCP/IPv4) 더블클릭

다음 맥주소를 버주얼 맥주소 쉽게 말해 맥주소를 바꾼 거처럼 보이게 만들기

구성으로 들어가서

 

고급에서 Locally Administered Address 값을 위와 같이 맥주소랑 같게 바꾼다

cmd에서 ipconfig /all에서 물리적 주소 바뀐거 확인

이렇게 설정 후 리눅스 on

기본적인 ip 설정(192.168.0.11)(11번째 서버가 DHCP서버로 설정한다고 조건에 있으므로) 후 

dhcp서버 설치

 

설치 완료된 모습

DHCP서버 설정 파일 VI로 실행

VI로 열면 위에 문구 만 있는데

위 명령어로 example를 뒤로 붙인다

붙인 모습

여기서 앞의 숫자는 :se nu 명령어를 사용

이 내용에서 우리가 필요한건 52~60번째 줄과 80~83번째 줄만 필요하니 그 외의 내용은 삭제

이렇게만 남긴다

위의 조건을 하나하나 집어넣어보면 6번째 줄 뺴고는 다 바꿔줘야 한다

위 사진과 같이 세팅이 완료되면 저장 후

DHCP 실행

 

이제 윈도우로 돌아와서 cmd를 켜고

윈도우는 ip를 할당 안 하면 자동으로 임의의 아이피를 할당하기에

ipconfig /release로 ip할당을 뺀 다음

ipconfig /renew로 다시 할당받으면

조건과 같이 다 설정이 완료된 걸 확인할 수 있다

부족하거나 틀린부분이 있다면 댓글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

 

반응형